버스에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가 있다.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를 이용 할 때는 승차권을 미리 구입해야 한다. 버스에 타기 전에 출발시간과 목적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구분 | 교통카드 | 현금 |
---|---|---|
일반 시내버스 | 1,500원 | 1,500원 |
광역버스 | 3,000원 | 3,000원 |
마을버스 | 1,200원 | 1,200원 |
지하철과 전철이 다니고 있는 모든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제도이다. 버스를 갈아타거나 버스에서 지하철로 갈아타야 할 때, 요금을 거리에 따라 지불하게 되는 할인제도이다.
예를
들어 환승제를 이용하지 않고 현금을 내고 버스를 갈아타면, 버스를 탈 때마다 요금을 내게 된다. 그러나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환승제를 적용하면, 버스나 지하철을 갈아타더라도 총 거리
10km 이내에서는 돈을 추가로 내지 않아도 된다. 다만 10km 이상이면 매 5km마다 추가요금 100원을 내면 된다. 지역에 따라 요금 할인 방식에 차이가 있다. 하차 후
30분 이내 탑승해야 환승이 가능하다(저녁 9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는 1시간 이내).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를 탈 때는 각 지역마다 있는 버스터미널에 가야 한다. 코버스(www.kobus.co.kr)나 시외버스예매(txbus.t-money.co.kr)에서 운행정보, 승차권 예약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터미널 이름 | 전화번호 | 터미널 이름 | 전화번호 |
---|---|---|---|
서울경부고속버스터미널 | 1688-4700 | 서대구 고속버스터미널 | 1666-2600 |
동서울 종합터미널 | 1688-5979 | 울산 고속버스터미널 | 1688-7797 |
센트럴시티터미널 호남 | 02-6282-0114 | 강릉 고속버스터미널 | 033-641-3184 |
상봉터미널 | 02-323-5885 | 속초 고속버스터미널 | 033-631-3181 |
서울 남부터미널 | 1688-0540 | 춘천 고속버스터미널 | 033-256-1571 |
수원 종합버스터미널 | 1688-5455 | 청주 시외버스터미널 | 1688-4321 |
인천 종합터미널 | 1666-7114 | 목포 종합버스터미널 | 1544-6886 |
안산버스터미널 | 1666-1837 | 전주고속버스터미널 | 063-277-1572 |
의정부 버스터미널 | 1688-0314 | 광주 종합버스터미널 | 062-360-8114 |
대전 복합터미널 | 1577-2259 | 여수 시외버스터미널 | 1666-6977 |
천안 종합터미널 | 041-640-6400 | 부산 종합버스터미널 | 1577-9956 |
동대구 터미널 | 1666-3700 | 마산 고속버스터미널 | 1688-3110 |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서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다. 수도권에는 9개의 지하철과 인천1·2호선, 분당선, 신분당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등이 운영되고 있다. 노선별로
상이한 색상의 서울 지하철은 서울의 가장 변두리와 위성 도시 그리고 모든 곳을 가로지르는 많은 환승역이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은 아침, 저녁 교통 체증 시간에는 2~3분
간격이고 그 외 시간에는 4~6분 간격이다.
구분 | 교통카드 | 1회용 교통카드 |
---|---|---|
어른 | 1,400원 | 교통카드 운임에 100원 추가 |
청소년 | 800원 | 일반 1회권 적용 |
어린이 | 500원 | 교통카드 운임과 동일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주요 지하철역, 기차역에 ‘아기사랑방’ , ‘아기와 엄마가 행복한 방’ 등의 명칭으로 수유실을 운영하고 있다.
첫차나 막차시간, 역정보, 운행시간표, 빠른 경로 찾기 등의 정보는 다음 장의 각 지역별 지하철 운행기관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택시는 24시간 운행한다. 자동차 위에 다양한 색상의 표시등을 달고 있기 때문에 자가용과 쉽게 구분 된다. 택시를 타려면 택시 정류장에서 기다리거나 도로변에서 손짓을 하여 지나가는 택시를 부르면 된다. 전화로 호출하는 콜택시를 이용하려면 택시요금 외에 별도의 수수료(통상 1,000원)를 내야 할 수도 있다. 한국에는 각 지역마다 여러 콜택시 업체들이 영업을 하고 있다.
3~4명까지 탈 수 있고, 요금미터기가 있다. 기본요금은 지역에 따라 다른데 4,800원(서울기준, 1.6km까지) 정도이다. 00:00~04:00까지는 심야 할증요금이 적용되며, 총 요금에서 20% 요금이 추가로 부가된다 (2024년 4월 기준).
배기량 2,000cc 이상의 고급승용차로 영업하는 택시이다. 대부분 검은색이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운행한다. 기본요금이 7,000원(서울기준, 3km까지)으로 일반택시보다 훨씬 비싸다. 대신 야간탑승이나 장거리 이동 시에도 요금이 할증되지 않는다.
최대 9명까지 탈 수 있는 큰 택시로, 짐이 많거나 일행이 많을 때 이용하면 편리하다. 모든 차량에 호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 언제 어디서든 전화를 걸면 이용할 수 있다. 기본요금은 모범택시와 같은 7,000원이지만 기사와 승객의 흥정을 통해 요금이 결정되기도 한다.
일반 가정에서 구매하여 사용하는 차를 자가용이라고 한다. 자가용의 종류에는 크기가 작은 경차부터 매우 다양한 차종이 있으며, 가격도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까지 다양하다.
운전면허 취득 절차는 다음과 같다.
필요한 서류 | 수수료 |
---|---|
응시원서 (6개월 이내 촬영한 여권용 규격의 칼라사진 3매), 주민등록증(신분증 인정범위) |
10,000원 (원동기 8,000원) |
필요한 서류 | 수수료 |
---|---|
응시원서, 주민등록증(신분증 인정범위) ※ 대리접수 시는 대리인 신분증 및 본인(위임자)의 신분증, 위임장 첨부 |
|
외국의 권한 있는 기관에서 교부 받은 운전면허증 소지자는 대사관확인서 등 제출한 구비서류를 통하여 그 면허의 진위여부가 확인되면, 적성검사 또는 적성검사와 학과시험을 거쳐 국내면허로 교환발급 받을 수 있다. 외국면허증은 유효기간이 남아있는 정식면허(full license)에 한하여 그 효력을 인정하며, 임시면허증(temporary), 연습면허증(learner, provisional, probationary), 운전허가증 (permit, certificate) 등은 국내면허로 교환 발급할 수 없다.
구분 | 인정국가 | 불인정국가 |
---|---|---|
외국인·외국 시민권자 |
|
|
구분 | 인정국가 | 불인정국가 |
---|---|---|
내국인·영주권자 |
|
|
항목 | 내용 |
---|---|
준비물 |
|
신청장소 | 전국 운전면허시험장 및 경찰서 |
유효 기간 | 발급일로부터 1년 |
수수료 | 8,500원 |
유의사항 |
|
항목 | 내용 |
---|---|
신청장소 |
|
준비물 |
|
수수료 | 적성검사 신청시 21,000원 / 갱신·재발급·신규발급 신청 시 15,000원 |
기타 |
|
항목 | 내용 |
---|---|
신청장소 |
|
준비물 |
|
수수료 | 1,000원
|
기타 |
|
기차는 항공기를 제외하면 가장 빠른 교통수단이다. 대부분의 주요 대도시에는 기차역이 있으며, 버스 및 지하철과 연결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고속철도(KTX·SRT),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이 있다.
승차권은 인터넷(www.letskorail.com)과 코레일톡 앱을 통하여 편리하게 예매할 수 있다. 또한 역의 매표소, 승차권 자동 발매기 등을 이용하여 예매할 수도 있다. 예약은 24시간 가능(인터넷)하며 승차하려는 열차의 출발 한 달 전부터 예매가 가능하다. 열차 탑승 시 지정된 승차권을 소지하여야 한다(SRT는 etk.srail.co.kr에서 예매할 수 있다).
고속철도(KTX·SRT)는 빠른 속도로 전국을 2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시키는 안전하고 편안하며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이다. 일반실과 특실로 좌석이 구분되어 있으며 화장실, 수유실, 스낵 자동판매기 등의 편의시설이 있다. 또한 무선인터넷, 전원 콘센트 사용으로 쾌적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비교적 장거리를 이동할 때 항공편을 이용하면 시간이 단축된다. 그러나 비용이 다른 교통편에 비해 비싸다. 국내에서는 주로 서울-부산, 서울-제주, 서울-울산, 서울-광주, 서울-사천, 서울-여수 등을 운행한다. 항공티켓은 보통 전화나 인터넷 등으로 항공사나 여행사에서 예매한다.
공항명 | 전화번호 | 홈페이지 |
---|---|---|
인천국제공항 | 1577-2600 | www.airport.kr |
김포국제공항 | 1661-2626 (한국공항공사) |
www.airport.co.kr/gimpo/index.do |
김해국제공항 | www.airport.co.kr/gimhae/main.do | |
대구국제공항 | www.airport.co.kr/daegu/index.do | |
무안국제공항 | www.airport.co.kr/muan/index.do | |
양양국제공항 | www.airport.co.kr/yangyang/index.do | |
제주국제공항 | www.airport.co.kr/jeju/index.do | |
청주국제공항 | www.airport.co.kr/cheongju/index.do |
공항명 | 전화번호 | 홈페이지 |
---|---|---|
군산공항 | 1661-2626 (한국공항공사) |
www.airport.co.kr/gunsan/main.do |
광주공항 | www.airport.co.kr/gwangju/main.do | |
사천공항 | www.airport.co.kr/sacheon/main.do | |
여수공항 | www.airport.co.kr/yeosu/main.do | |
울산공항 | www.airport.co.kr/ulsan/main.do | |
원주공항 | www.airport.co.kr/wonju/main.do | |
포항경주공항 | www.airport.co.kr/pohang/main.do |
나라명 | 항공사명 | 전화번호 | 나라명 | 항공사명 | 전화번호 |
---|---|---|---|---|---|
대만 | 중화항공 | 02-317-8888 | 일본 | 일본항공 | 02-757-1711 |
대한민국 | 대한항공 | 1588-2001 | 일본 | ANA항공 | 02-2096-5500 |
대한민국 | 아시아나항공 | 1588-8000 | 중국 | 길상항공 | 051-463-0093 |
대한민국 | 에어부산 | 1666-3060 | 중국(홍콩) | 케세이드래곤에어 | 1644-8003 |
대한민국 | 이스타항공 | 1544-0080 | 중국 | 중국국제항공 | 02-774-6886 |
대한민국 | 제주항공 | 1599-1500 | 중국 | 중국남방항공 | 1899-5539 |
대한민국 | 진에어 | 1600-6200 | 중국 | 중국동방항공 | 1661-2600 |
대한민국 | 티웨이항공 | 1688-8686 | 중국 | 중국상하이항공 | 1661-2600 |
라오스 | 라오항공 | 02-6357-0808 | 캄보디아 | 스카이앙코르항공 | 02-752-2633 |
러시아 | 야쿠티아항공 | 02-335-6944 | 태국 | 타이항공 | 02-3707-0114 |
몽골 | 몽골항공 | 02-756-9761 | 필리핀 | 세부퍼시픽 | 02-6105-2037 |
베트남 | 베트남항공 | 02-757-8920 | 필리핀 | 필리핀항공 | 1544-1717 |
일본 | 피치항공 | 02-2023-6764 | 베트남 | 비엣젯항공 | 02-319-45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