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롤 안내
한국생활안내 정보더하기 사이트로 이동

한국의 교육제도

  • 자녀교육
  • 한국의 교육제도

한국의 교육제도

01교육제도 일반

한국의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전문대학은 2년)으로 구성된다.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은 의무교육기간으로 무상교육이 제공된다.

02교육과정 운영

일 년을 두 개의 학기로 나누어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제1학기는 3월 1일부터 학교의 수업일수·휴업일 및 교육과정 운영을 고려하여 학교의 장이 정한 날까지, 제2학기는 제1학기 종료일 다음 날부터 다음 해 2월말일까지로 한다. 일반적으로 1학기는 3월초, 2학기는 8월말~9월초에 시작한다.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구분하여 편성·운영된다.

03다문화학생 교육지원

한국어학급(찾아가는 한국어교육)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중도입국·외국인학생(유아) 등의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유·초·중·고등학교에 한국어학급을 개설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을 지원한다. 전국 291개 학교(2022년 기준)에서 444개 한국어학급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서 한국어학급을 운영하지 않는 경우 ‘찾아가는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어교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시·도교육청 또는 다문화교육 포털(www.edu4mc.or.kr)을 통해 거주지역의 한국어학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중언어교육

이중언어 학습을 장려하기 위하여 이중언어교재 및 전자책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매년 ‘이중언어말하기대회’를 개최한다. 미래에셋박현주재단(foundation.miraeasset.com) 또는 다문화교육포털(www.edu4mc.or.kr)에 접속하여 이중언어교재 「엄마아빠와 함께 배우는 ○○어*」 전자책을 활용할 수 있다. ‘이중언어말하기대회’는 학교·지역대회를 거쳐 매년 11월 중 전국대회를 개최한다.

  • 중국어, 베트남어, 일본어, 필리핀어 등 4개 언어는 미래에셋박현주재단, 러시아어, 캄보디아어, 태국어, 몽골어, 인도네시아어 등 5개 언어는 다문화교육포털에 탑재
다문화학생 대학생 멘토링

대학생과 1:1 매칭하여 학교적응과 기초학습을 지원한다. 대학생 멘토가 멘티 다문화학생이 재학중인 학교 등을 방문하여 방과 후 또는 방학동안 학습을 도와준다. 학교 또는 지역아동센터를 통해 신청하여 참여할 수 있다.

알아두세요!
다문화 대안학교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원하는 다문화학생을 위한 학력인정 대안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다문화 대안학교 : 학교명, 학교급, 특징, 교육비, 문의처를 포함한 표입니다.
학교명 학교급 특징 교육비 문의처
지구촌학교
(서울 구로구)
www.globalsarang.com
초·중·고
  • 한국어, 영어, 제2외국어를 동시에 배우는 다중언어 특화교육 실시
무료 02-6910-1004
서울다솜관광고등학교
(구 서울다솜학교,
서울 종로구)
www.sds.hs.kr
  • 취업능력향상을 위한 직업교육과 한국어교육 실시
  • 관광콘텐츠과, 관광서비스과 운영
무료 070-8685-7798
한국폴리텍 다솜고등학교
(충북 제천)
dasom.kopo.ac.kr
  • 기술습득과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직업교육 실시
  • 컴퓨터기계과, 플랜트설비과, 스마트전기과 운영
  • 전교생 기숙사 생활
무료(기숙사비 무료) 043-649-2800
인천한누리학교
(인천 남동구)
(www.hanuri.icesc.kr)
초·중·고
  • 한국어교육과 다양한 특성화 프로그램(학력신장, 진로과정, 체험활동) 운영
  • 초등 5학년 이상 기숙사 생활 가능
초·중등 : 무료
고등 : 유료
(기숙사비 별도)
032-442-2104
032-442-2109
해밀학교
(강원도 홍천군)
(haemillschool.com)
  • 기숙형 작은학교(학년별 20명)
  • 다문화학생과 비다문화학생 통합교육
  • 한국어교육 및 이중언어교육(중국어, 일본어)
  • 텃밭 농사 등 노작활동
무료(기숙사비 포함) 033-433-8761
외국인학교

외국인학교는 외국인의 자녀와 외국에서 3년 이상 거주 후 귀국한 내국인 및 한국어능력 부족 등으로 일반 학교에서 학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귀화자의 자녀의 교육을 위한 기관이다. 현재 운영 중인 외국인학교는 총 39교로, 서울 18교, 경기 6교, 부산 5교, 인천 2교, 경남 2교, 대구 2교, 대전·광주·울산·강원 각 1교씩 있다.

입학자격
  • 부모 모두 또는 부모 중 1인이 외국인인 경우
  • 외국에서 3년 이상 거주한 내국인(복수국적자 포함)
  • 다음의 사유로 일반학교에서 학업지속 어려운 귀화자 자녀(학교운영위원회 심의필요)
    • 한국어 능력이 현저히 부족하여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학생
    • 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학교 부적응의 문제가 발생한 학생
    • 그밖에 해당학교에서 학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학생
입학전형
  • 입학전형은 학교별로 실시하므로 구체적 전형방법은 다르지만 서류심사와 인터뷰를 강조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연중 지원 가능하다.
  • 입학에 필요한 서류도 학교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출입국사실증명서, 여권, 건강기록부, 이전 학교의 재학증명서, 성적증명서, 해당국의 공인어학시험 성적 등을 요구한다. 각 학교마다 다르므로 미리 확인해 두어야 한다.
외국교육기관 및 외국인학교 종합안내 홈페이지
  • 외국교육기관 및 외국인학교 종합안내 홈페이지(www.isi.go.kr)에서 각 학교별 입학절차, 학비 등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공공누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